본문 바로가기

미드저니 한 달 구독 후기 – 블로그 이미지 제작에 과연 쓸만했을까?

@Jeeqong 2025. 4. 21. 07:17
반응형

서론

블로그 운영을 시작하고 나서 느낀 건 글은 잘 써도 이미지가 예뻐야 눈에 띈다는 것.

특히 내가 고른 스킨은 썸네일이 꽤 중요한 편이라

대표 이미지, 썸네일 해상도 맞추는 것도 은근히 귀찮고 어렵다.

ChatGPT가 만들어주는 이미지도 한계가 있고, 포토샵은 안 쓰고 있어서 이미지 변환도 불편했다.

그래서 한 달만 미드저니를 구독해서 이미지 대량 생산을 해보자!

요즘 제일 핫한 AI 이미지 생성기인 Midjourney를 직접 써봤다.

과연 블로그용으로 괜찮을까?

한 달 써본 진짜 후기를 정리해 본다.


본론

구독 요금은?

  • 가장 저렴한 Basic 플랜 $10 (약 13,000원)
  • 이미지 생성 속도나 사용량 제한은 있지만 블로그용으로는 충분하다

사용 방법은?

  • Discord에서 /imagine 명령어 입력
  • 텍스트 기반으로 이미지 4개 생성
  • 원하는 버전 선택(U 버튼), 변형(V 버튼) 가능

프롬프트는 ChatGPT한테 “이런 느낌, 이런 구도, 이런 해상도”로 말해주면

영문 프롬프트로 잘 변환해 준다.

하지만… 몇 번은 진짜 말이 안 통해서 속았다. 췟…

그래서 꼭 번역기 한번 더 돌려보는 걸 추천한다.

몇 번 해보면 감이 온다.

‘사진 스타일’, ‘배경’, ‘색감’ 키워드 조합이 핵심!


구독 후 내가 했던 작업들

  • 구독 시작하자마자 이미지 30장 정도 생성!
  • 오브젝트 중심 이미지가 많아서 내가 원하는 1:7 썸네일 비율 만들기 쉽지 않았음
  • 디자이너가 아니다 보니 ‘미니멀’, ‘메타포’ 같은 용어 쓰기도 애매했음

빠르게 적응한 꿀팁

  1. ChatGPT랑 상담해서 원하는 구도, 해상도 기반 고정 프롬프트 먼저 만들기
  2. Behance, Pinterest에서 참고 이미지 찾기
  3. 원하는 이미지 붙여 넣고 프롬프트 변환 + 색상 지정 요청
  4. 번역기로 한번 더 점검 → Midjourney에 입력

나는 Upscale이나 리터치 기능은 잘 안 썼다.

목표는 고퀄 일러스트가 아니라, 블로그에 잘 어울리는 무드 이미지였기 때문.


사용량은?

  • 구독 마지막 날까지 80% 이상 남음
  • 고퀄 렌더링 안 하니까 기본 요금제만으로도 남아돈다
  • 마지막 날, 점심부터 저녁까지 거의 하루 종일 이미지 뽑았다 😅

단점은?

  • 글 주제와 정확히 맞는 이미지 만들기 → 숙련 필요
  • 이미지 배경 제거/편집은 별도 툴 필요 (나는 안 함)
  • 텍스트 삽입 안 됨 / 글씨는 오타 많음
    • 예: 썸네일에 “JSS” 같은 이상한 텍스트 나옴
    • (포토샵 쓰면 해결이지만, 그거 구독료도 아까움…)

실제 예시

티스토리 프사로 쓰려고 만든 이미지(SD 캐릭터 중독자임)

헤드셋을 쓰고 음악감상하는 핑크머리소녀 미드저니로 생성한 이미지
헤드셋을 쓰고 음악감상하는 검은머리소녀 미드저니로 생성한 이미지

 

 

Python을 사람손으로 스케치하는 느낌 (글씨 잘못 그려서 이렇게 나옴)

Python을 사람손으로 스케치 미드저니로 생성한 이미지

 

Next.js 와 모니터, 컴퓨터, html, typescript, css, react, 지구본, 설정아이콘 등 핸드스케치한 느낌 (오타남...ㅋㅋ)

미드저니로 생성한 이미지

대시보드, 건물, 3D 아이소 메트릭 파스텔톤 이런 프롬프트

3D 아이소 메트릭 건물 미드저니로 생성한 이미지

 


결론

한 달 써보니 결론은 딱 하나.

블로그 운영자라면 미드저니, 충분히 써볼 만하다!

물론 ChatGPT랑 키보드랑 한참 씨름해야 하고,

내 의도가 정확히 전달되지 않아 답답할 때도 있지만…

저작권 이슈 없는 나만의 이미지가 필요하다면 커피 두 잔 가격이면 값한다.

썸네일, 대표 이미지, 테마 삽화 정도는 전부 커버 가능하고

한 달만 해도 충분히 많~은 이미지 뽑을 수 있다.

 


지난 후기

미드저니(Midjourney)에서 생성된 이미지는 대부분 PNG 포맷으로 제공되는데,

이 파일들은 대체로 1MB에서 많게는 3MB까지 용량이 꽤 큽니다.

 

디자인 퀄리티는 좋아도, 웹페이지에 그대로 사용하면 속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어요.

특히 티스토리나 블로그처럼 이미지가 많고 썸네일 기반의 레이아웃에선

로딩 속도, SEO, 사용자 경험(UX) 모두에 안 좋은 영향을 줍니다.

 

해결 방법: JPG 변환 + 압축

  • PNG → JPG 변환: 배경 투명도가 필요 없는 이미지라면 JPG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용량이 확 줄어요.
  • 이미지 압축 툴 사용:
  • 권장 품질 설정: 해상도는 유지하되, JPG로 변환하는 것만으로도  용량 절감이 가능합니다! 🤗

 

반응형
Jeeqong
@Jeeqong :: JQVAULT

Jeeqong's vault : 정보/기록을 쌓아두는 공간 웹개발 포스팅 일상 리뷰를 기록하는 공간입니다.

공감하셨다면 ❤️ 구독도 환영합니다! 🤗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