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프로젝트에서 린트 & 포맷터 도입하는 이유와 셋업 방법 (flake8, black, isort, mypy, pre-commit)

@Jeeqong 2025. 4. 3. 01:00
반응형

1. 개요

Python 프로젝트를 규모 있게 운영하거나 협업하게 되면, 가장 먼저 맞춰야 할 게 코드 스타일과 품질 기준이다.

Next.js나 TypeScript처럼 빌드 시 오류를 잡아주는 구조가 아니라, Python은 인터프리터 기반이라 실행 전 오류를 못 잡을 수 있다.

그래서 코드 품질 유지와 오류 예방을 위해, 아래 도구들을 도입하게 된다:

  • flake8: 문법 오류, 스타일 경고 감지
  • black: 코드 자동 정렬
  • isort: import 정렬
  • mypy: 타입 검사
  • pre-commit: 커밋 전에 위 도구들을 자동 실행

1.1 관련 용어

용어  의미  지금 상황과의 관련성
Linting (린팅) 문법 오류, 스타일 오류 탐지 ✅ flake8, isort
Formatting (포맷팅) 코드 자동 정렬 ✅ black
Static Analysis (정적 분석) 실행 없이 코드 검사 ✅ mypy, flake8
Pre-commit Hook 커밋 전에 검사 실행 ✅ pre-commit
Code Quality Check 전체 품질 점검 용어 ✅ 지금 한 전체 흐름에 해당
Pre-deployment Test 배포 전 테스트 🔄 조금 넓은 의미지만 맞는 표현이야

2. 왜 빌드가 없는데도 이런 도구가 필요할까?

Python은 빌드가 없기 때문에, 오타, 타입 오류, import 누락 등도 실행 중에나 발견된다.

즉, 자동으로 사전에 잡아줄 구조가 없으므로 다음을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항목  목적
린트 검사 오타, 스타일, unused 변수 등 탐지
코드 포맷터 들여쓰기, 공백 등 통일
타입 검사기 함수 인자, 반환 타입 검증
커밋 훅 실수 방지 자동화

3. 필수 도구 셋업

📦 패키지 설치

pip install flake8 black isort mypy pre-commit

또는 requirements.txt 또는 pyproject.toml에 추가


4. pre-commit 설정 예시

.pre-commit-config.yaml 파일 생성:

repos:
  - repo: <https://github.com/psf/black>
    rev: 23.3.0
    hooks:
      - id: black

  - repo: <https://github.com/pycqa/flake8>
    rev: 6.1.0
    hooks:
      - id: flake8

  - repo: <https://github.com/pre-commit/mirrors-isort>
    rev: v5.12.0
    hooks:
      - id: isort

적용 명령어:

pre-commit install            # Git 커밋 훅 등록
pre-commit run --all-files    # 전체 파일 검사 실행

5. 추천 팁

5.1 VSCode

  • black 자동 포맷팅 on save
  • flake8 플러그인 설치
  • isort 실행도 함께

.vscode/settings.json 예시:

{
  "python.formatting.provider": "black",
  "editor.formatOnSave": true,
  "editor.codeActionsOnSave": {
    "source.organizeImports": true
  }
}


5.2 PyCharm 사용자 팁

PyCharm에서는 다음 설정을 통해 자동 포맷팅/린트를 연동할 수 있다:

  • Preferences > Tools > File Watchers → black, isort 등록
  • Preferences > Inspections에서 flake8 연동
  • .editorconfig로 팀 포맷 유지 가능

6. 정리 요약

도구  역할  주 용도
flake8 문법, 스타일 오류 실수 예방
black 코드 정렬 팀 통일된 포맷 유지
isort import 순서 정리 가독성 향상
mypy 타입 검사 FastAPI 등 타입 사용 시 필수
pre-commit 커밋 전 자동 검사 실수 방지 자동화

✅ 결론

Python은 빌드 없이 실행되기 때문에, 정적 분석과 포맷팅 도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pre-commit까지 설정하면 실수 없이 안정적인 협업과 배포가 가능하다.

처음 셋업만 해두면 이후엔 자동으로 관리되니, 지금 프로젝트에 바로 도입해보자 💪

Python 프로젝트를 규모 있게 운영하거나 협업하게 되면, 가장 먼저 맞춰야 할 게 코드 스타일과 품질 기준이다.

Next.js나 TypeScript처럼 빌드 시 오류를 잡아주는 구조가 아니라, Python은 인터프리터 기반이라 실행 전 오류를 못 잡을 수 있다.

그래서 코드 품질 유지와 오류 예방을 위해, 아래 도구들을 도입하게 된다:

 

반응형
Jeeqong
@Jeeqong :: JQVAULT

Jeeqong's vault : 정보/기록을 쌓아두는 공간 웹개발 포스팅 일상 리뷰를 기록하는 공간입니다.

공감하셨다면 ❤️ 구독도 환영합니다! 🤗

목차